한미 무역 협상, 한국 수출 산업에 미칠 영향은?

2025. 4. 20. 17:48이슈 속으로

2025년 4월 20일, 한국과 미국은 워싱턴 D.C.에서 '2+2' 무역 협상을 진행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상은 미국이 제안한 것으로, 한국의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의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만나게 됩니다.

협상의 주요 쟁점

  • 25% 상호 관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25%의 '상호' 관세는 현재 유예 상태지만, 한국은 이를 철회하거나 최소한의 관세율로 줄여주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 자동차 및 반도체 산업: 한국은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에 대한 미국의 관세 면제를 강력히 요청할 예정니다. 

우리 정부의 대응

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무역 긴장에 대응하기 위해 12.2조 원(약 86억 달러)의 추경안을 제안했습니다.

이 예산은 무역 위험 완화, 인공지능 기술 발전, 중소기업 지원, 재난 대응 등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글로벌 경제와의 연계

이번 협상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orld Bank)의 봄 회의와 동시에 진행됩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 협력과 정책 조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시도입니다.

한미 무역 협상

 

협상 전망

국내 일부 언론에서는 '정권교체기'인 국내 민감한 정세를 감안했을 때

섣부른 관세 협상은 더 큰 화를 키울 수 있으므로 협상에 신중해야 한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대한민국의 장래를 더 멀리 바라보면서

미국의 이야기만 청취한 채 돌아와서 차기 정부에서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입장이지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댓글에서 토론해 보죠! 

 

*키워드: 2025년 한미 무역 협상, 한국 수출 산업 영향, 25% 상호 관세, 자동차 반도체 관세 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