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70% 룰의 진실: 부유한 노인도 받는 이유와 재정위기 전망

2025. 4. 28. 18:11금융 정보

기초연금은 더 이상 저소득층 노인만을 위한 제도가 아닙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중산층은 물론,

극소수이긴 하지만 10억원대 자산을 보유한 노인들까지 기초연금을 수령하고 있습니다.

이는 '노인 70% 지급'이라는 기준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기초연금 수급 기준의 변화

2024년 기준,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단독가구 228만원입니다.

10년 전(93만원)보다 2.45배 늘어났으며, 같은 기간 1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증가율(1.53배)을 훨씬 웃돌았습니다.

이는 노인들의 경제력이 전체 국민 경제력보다 빠르게 성장했음을 뜻합니다.

기초연금 수급 기준 변화 (10년 비교 표)

구분 2014년 기준 2024년 기준 변화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1인 가구) 93만원 228만원 2.45배 증가
1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156만 2337원 239만 2013원 1.53배 증가
기초연금 선정기준액/기준중위소득 비율 약 59.5% 약 95.3% 중위소득에 근접
연평균 증가율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 9.38% 빠른 증가
연평균 증가율 (기준중위소득) - 4.35% 상대적으로 느린 증가
  •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10년간 약 2.45배 증가해, 기준중위소득 증가율(1.53배)보다 훨씬 빨리 상승했습니다.
  • 과거에는 기초연금 선정기준이 중위소득의 절반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거의 중위소득에 근접했습니다.
  • 즉, 예전보다 훨씬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노인들도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된 상황입니다.

10억원대 자산 보유자도 기초연금 수급

  • 공시가격 12억원 이상의 고가 주택을 보유한 노인 551가구도 기초연금을 받고 있습니다.
  • 소득은 낮지만 고가 자산을 가진 경우에도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제도 설계의 허점을 보여줍니다.

70% 룰, 언제까지 유지될까?

70% 룰은 2014년 기초연금 도입 당시 정치적 타협으로 결정된 수치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노인 비율도 높아졌고, 전체 경제 상황 역시 달라졌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기초연금 선정기준이 곧 기준중위소득을 초과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재정 부담 증가 우려

 

재정 부담 증가 우려

노인 인구는 2035년 1500만명을 돌파할 전망입니다.

동시에 모든 정권은 기초연금액 인상을 추진해 왔습니다.

인구감소로 납세자는 줄어드는 반면에 수급자수와 수급율은 증가하는 구조라

결과적으로 미래세대에 큰 부담을 주게 되며, 기초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