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의 역설: 트럼프의 세계 흔들기 – 제2편: 미국 증시가 흔들린 진짜 이유

2025. 4. 25. 06:22이슈 속으로

증시가 출렁인 순간

2025년 4월 17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연준(Fed) 의장 해임 시사, 고율 관세 확대를 발언하며 미국 증시는 즉각 반응했습니다.

나스닥은 하루 만에 3% 하락했다가, 다음 날 트럼프의 발언 번복으로 2.5% 반등했죠.

이 급등락의 배경에는 무엇이 있었을까요?

증시가 출렁인 순간
 

금융시장이 예민하게 반응한 3가지 이유

1.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

  • 트럼프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직접 언급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
  • 시장은 이를 정치적 간섭으로 인식하며 신뢰 하락

2. 관세 확대 = 인플레이션 리스크

  • 수입 물가 상승 → 소비자 물가 압박 → 연준의 금리 인하 여지 축소
  •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가 동시에 온다면,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3. 자산이탈 조짐: '셀 USA' 신호 등장

  • 국채 금리 급등 (3.99% → 4.41%), 달러 약세 (지수 110 → 98)
  • 외국인 자금, 금·엔화·유로 등으로 이동 시작

 

미국 금융패권, 흔들리는 중인가?

자산군 반응 시사점
미국 주식 급등락 반복 정치 리스크 반영 가속화
미 국채 금리 상승 안전자산 매력도 감소
달러화 약세 전환 신뢰도 흔들림, 금 대체 수요 증가
금값 온스당 $3,509 돌파 글로벌 안전자산 재편 움직임

 

서학개미에게 주는 시사점

  • 단기 급등락에 따라 고변동성 종목(테크, 반도체) 매매 주의
  • 금 ETF, 인버스 ETF 등 위험회피 전략 상품 관심 확대
  • 환율 방향성 불확실 → 달러 자산 비중 조정 필요

 

다음 편 예고

《제3편 – 금값이 말해주는 시장의 불안》 달러 대신 금으로 몰리는 자금, 그것이 의미하는 세계 경제의 메시지를 해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