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저작권 침해,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

2025. 4. 2. 00:57이슈 속으로

AI 스타일 이미지 생성, 저작권법으로 본 쟁점 시리즈

생성형 AI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같은 화풍 기반 이미지 생성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예술적 자유를 넓히는 동시에, 저작권법과 충돌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블로그 시리즈를 통해 법률 관점에서 AI 이미지 생성의 저작권 쟁점을 단계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시리즈 3편: "AI 저작권 침해,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

AI 이미지 생성, 법적 책임은 누구에게 돌아가는가?

AI가 만든 이미지가 기존 작품을 모방하거나 유사한 경우,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침해의 책임 주체가 불분명하다는 점입니다.

 

핵심 쟁점: 누가 법적으로 책임지는가?

  1. AI 개발사
    • AI 모델이 저작권 있는 작품을 학습했다면? → 저작권 침해의 간접 책임 소지 있음
    • 학습 데이터 출처 공개 여부가 핵심
  2. AI 플랫폼 제공자
    • 특정 기능(AI 스타일 변환 등)을 제공하고 침해 가능성이 높은 결과물을 생성한 경우 책임 주장 가능
    • Terms of Use(이용 약관)에 책임 제한 조항 포함 여부가 중요
  3. 사용자(프롬프트 입력자)
    • 의도적으로 특정 작품/캐릭터/장면을 흉내 내도록 지시한 경우 → 직접 침해 가능성 존재
    • 상업적 이용 시 법적 책임이 더 강화될 수 있음
  4. AI 자체는 책임이 없음
    • 현재 법 체계상 AI는 ‘법적 주체’가 아님 → 책임을 지지 않음

누가 법적으로 책임지는가?

 

관련 사례 및 해석

  • Getty Images vs. Stability AI 소송 (2023) → 무단 이미지 학습이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지를 놓고 법적 다툼 진행 중
  • Zarya of the Dawn 사건 (미국) → AI가 일부 생성한 작품에 대해 저작권 등록 거절됨 (인간 창작성 결여 이유)
  •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안내서(2023) → AI가 특정 작가의 스타일을 집중 학습해 유사한 결과물을 내면 ‘침해 가능성’ 인정

 

사용자가 기억할 법적 원칙

  • AI는 도구일 뿐, 사용자가 프롬프트를 통해 침해 지시를 했는가가 핵심
  • AI 개발사가 저작권자와 라이선스를 체결했는가 여부도 중요
  • 상업적 사용 전에는 반드시 저작권 확인 필요

다음 편에서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AI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가이드라인”**을 실제 사례와 함께 소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