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 관세 압박에 강해진 이유: 기술독립과 소비확대 정책 집중 분석

2025. 5. 20. 07:01이슈 속으로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 관세 vs 기술굴기

2018년 시작된 미·중 무역전쟁은 2025년 현재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당시에는 미국의 관세 압박에 중국 내부에서도 반성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현재 중국은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이 과거보다 경제적, 기술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입니다.

관세 vs 기술굴기

 

1차 무역전쟁의 교훈

1차 무역전쟁 당시 중국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타협을 시도했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의 대중 무역 적자는 개선되지 않았고, 중국도 수출 둔화와 성장 둔화를 겪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중국에게 미국과의 협상이 항상 유리하지 않다는 교훈을 남겼습니다.

더 나아가 캐나다, 일본 등과의 협상에서는 우방의 뒤통수 치기까지 보여줬다는 것을 전세계가 목격했죠. 

내수 강화와 기술 자립

중국은 미국의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내수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구환신' 프로젝트를 통해 노후 제품을 신제품으로 교체하는 소비 촉진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사회보장제도 개선을 통해 가계 소비를 활성화하려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자립을 위해 정부 주도로 연구개발 예산을 증액하고, 민영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주석은 주요 민간 기업인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기술 혁신과 자립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결론: 결코 만만하지 않은 중국

중국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내수 강화와 기술 자립을 통해 자국의 경제를 강화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전쟁의 새로운 국면을 의미하며, 앞으로의 전개가 주목됩니다.

트럼프의 폭주를 시진핑이 홀로 막아선 상황이다.

현재까지는 트럼프에 동참하는 나라들도 많지만, 앞다퉈 트럼프와 관세협상에 적극 나서는 나라들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의 대응전략을 어떻게 가져갈지 6.3 대선으로 들어설 새정부의 숙제다.